오늘은 5월 11일
인터넷으로 장 담그는 키트를 주문해
된장, 간장을 담근 지 딱 90일이 되는 날입니다.
된장 간장 담그는 법 개량메주로 된장 간장 담그는 방법
오늘이 음력 1월 20일 손 없는 날. 된장, 간장을 담그기 위해 미리 개량 메주를 인터넷으로 주문을 했습니다. 시댁에서 된장 , 간장을 얻어먹다가 올해는 제가 담아 가져다드리려고 미리 주문을
twins0807.tistory.com
60~90일 사이에 장 가르기를 해야 한답니다.
한동안 이래저래 바빠 틈을 못 내다가
딱 90일을 채운 오늘 하게 되었습니다.

뚜껑을 한 번도 열지 않았습니다.
제가 구입한 장 담그기 키트 설명서에는
공기와 최대한 차단하는 게
깔끔하고 맛있는 장이 된다고 해서
속 뚜껑, 겉 뚜껑으로 90일간 꼭 닫아 두었습니다.

90일 만에 뚜껑을 열어보니
하얀 곰팡이가 피어있습니다.

고운 체
거품기로 하얀 곰팡이를 최대한 걷어 주었습니다.
장 가르기 할 때 사용하는 도구에는
물이 없이 건조한 상태여야 한다네요.
이때 사용하는 거품기는 물에 씻으면 안 됩니다.
한번 떠 내고 키친 타올로 거품기
체를 닦아 주면서 사용했습니다.

최대한 깨끗하게 곰팡이를 걷어 주었습니다.

미리 콩 메주를 담을 큰 그릇을 준비 한 후
콩알 메주가 든 망을 꺼내 줍니다.

용기 입구가 좁아 망 입구를 풀어
콩 메주를 손으로 반 쭘 그릇에 덜어 내고
망을 꺼냇습니다.

메주를 건져 낸 후
간장을 병에 옮겨 담아야 합니다.
그런데 집에 작은 주전자밖에 없네요.
주전자가 500ml 작은 거라 하면서 힘들었습니다.
다음에는 도구를 미리 구입해 둬야겠습니다.
고운 망이 있는 주전자지만
마른 면 보를 한 번 더 깔아 주었습니다.

그리고 간장을 주전자에 담아 줍니다.

된장 간장 담글 때 부어준 생수병을
따로 잘 보관했다가 사용했습니다.
2리터 생수병에 간장을 부어 줍니다.
하얀 곰팡이도 한번 더 걸려
간장을 병에 담아 주었습니다.

2리터 생수 병으로 8병이 나오고
200~300ml 정도 더 나온듯합니다.
콩메주 꺼내고
간장을 병에 따라 붓고 하면서 흘린
간장도 좀 있습니다.

참고로 밑으로 내려 갈수록
간장에 메주 건더기가 많아
면 보가 막혀 더 이상 간장을 내릴 수 없어
면 보를 빼고
주전자 망으로 걸려 주었습니다.
요 과정이 좀 번거롭고 힘들었습니다.

장 담그기 키트에 들어 있는
개량 메주 가루 1 kg 입니다.

설명서대로 메주 가루를
건져낸 된장에 몽땅 부어 줍니다.


그리고 고르게 치대면서 섞어 줍니다.

병에 붓고 남은 간장을 된장에 부어 줍니다.

된장이 너무 뻑뻑해 간장을 붓고 치대어주면
촉촉하니 수분기가 생깁니다.


충분히 치대어 고르게 섞은 된장을
김치통에 담아 주었습니다.


공기가 안 들어 가게[ 꾹꾹 눌려 담아 줍니다.

랩으로 된장을 덮어 줍니다.
최대한 공기 차단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앞으로 2~3 개월 정도
실온 20~23도에서 숙성하면
간장과 된장이 완성이랍니다.
'우리집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무물김치 담그는 법 국수 말아먹으면 끝내주는 열무얼갈이 물김치 만드는 법 (2) | 2023.05.16 |
---|---|
실패한 수제 플레인 요거트로 그릭요거트 플레인 요거트 만들기 (1) | 2023.05.12 |
다이어트 방울토마토 양배추 샐러드 가벼운 한 끼 음식 (0) | 2023.05.10 |
방아잎전 방아잎 부추전 만들기 (0) | 2023.05.09 |
치킨볶음밥 휴일 점심은 간단하게 치밥 닭강정으로 만든 치킨볶음밥 (0) | 2023.05.05 |